분류 전체보기 192

11-03 체이닝(Chaining)

아래의 상기 내용은 "이것이 자료구조+알고리즘이다. With C언어"의 도서 내용과 인터넷의 내용을 실습 및 정리한 글입니다.1.체이닝(Chaining) 1)개요 및 정의 -해시 테이블의 충돌을 해결하는 방법은 해시 테이블의 주소 바깥에 새로운 공간을 할당하여  해결하는 개방 해싱(Open Hashing),처음에 주어진 해시 테이블의 공간 안에서 해결하는 폐쇄 해싱(Closed Hashing)이 있다. -체이닝은 데이터를 해당 주소에 있는 링크드 리스트에 삽입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개방 해싱 방식의 기법. 2.체이닝의 중요연산-체이닝은 데이터가 삽입될 때  앞으로 발생할 충돌을, 삭제와 탐색은 이미 발생한 충돌을  고려해서 설계되어야 한다.  1)탐색 연산 과정  2)삽입 연산3.체이닝 해시테이블 구현 1..

06-02 안전성을 위한 기술2

아래의 상기 내용은 "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"의 도서 내용과 인터넷의 내용을 실습 및 정리한 글입니다. 1.암호화(encryption) 및 복호화(decryption) 1)암호화 -원문 데이터를 알아볼 수 없는 형태로 변경하는 것. 2)복호화 -암호화된 데이터를 원문 데이터로 되돌리는 과정. 3)키(key) - 암호화 및/또는 복호화에 대한 암호에서 사용되는 정보. - 키와 원문 데이터를 특정 수학적 연산과정(알고리즘)을 통해 암호문이 생성되고 암호문 -2.대칭 키 암호화(symmetric key cryptography) 1)정의 -암호화와 복호화에 같은 키를 사용하는 방식. -암호화 및 복호화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지만 상대방에게 키를 전달하기 어렵고 안전성이 낮다.3.공개 키 암호화(public key..

06-01 안정성을 위한 기술

아래의 상기 내용은 "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"의 도서 내용과 인터넷의 내용을 실습 및 정리한 글입니다. 1.네트워크 성능 용어 정리 1)안정성 -특정 기능을 언제든 균일한 성능으로 수행할 수 있는 특성. 2)가용성(availability) -컴퓨터 시스템이 특정 기능을 실제로 수행할 수 있는 시간의 비율. -업타임(uptime):정상사용시간 -다운타임(downtime): 사용불가 시간3)고가용성(High Availability) -높은 가용성을 뜻한다.4)결함 감내(fault tolerance) -문제가 발생하더라도 기능을 할 수 있는 능력2.이중화 1)정의 -시스템의 신뢰성을 올리기 위해 같은 기능을 가진 시스템을 두 개 준비하여 활용하는 것. -이중화의 대상은 서버 컴퓨터,네트워크 인터페이스,스위치 ..

10-02 힙 트리(Heap Tree) 구현

아래의 상기 내용은 "이것이 자료구조+알고리즘이다. With C언어"의 도서 내용과 인터넷의 내용을 실습 및 정리한 글입니다. 1.힙 트리(Heap Tree) 구현 1)데이터 노드 구현 2)원형 함수 선언 3)함수 구현 -힙 생성 및 삭제 연산-힙 삽입연산-힙 최솟값 삭제 연산 -부모노드 및 왼쪽자식 노드 반환연산-노드 교환 연산-힙 출력연산-테스트

10-01 힙 트리(Heap Tree)

아래의 상기 내용은 "이것이 자료구조+알고리즘이다. With C언어"의 도서 내용과 인터넷의 내용을 실습 및 정리한 글입니다. 1.힙 트리(Heap Tree) 1)정의 -힙 순서 속성(Heap Order Property)을 만족하는 완전 이진 트리 -힙 순서 속성이란 트리 내의 모든 노드가 부모 노드보다 커야 하는 규칙. -힙 순서 속성으로 항상 트리 내 최솟값은 뿌리 노드이다.2.힙 트리의 주요 연산 1)삽입연산 -삽입연산 과정 2)힙의 최솟값 삭제 연산 -삭제 연산 과정 3.배열을 이용한 힙의 구현1)개요 -배열은 완전 이진트리를 구현하기 적합한 자료구조를 가지고 있다. -배열간의 각 요소가 노드에 해당되고 요소의 순번에 따라 노드간의 관계를 알 수 있다.2)구현 방법

05-03 HTTP 헤더와 HTTP 기반 기술

아래의 상기 내용은 "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"의 도서 내용과 인터넷의 내용을 실습 및 정리한 글입니다.1.HTTP헤더 1)정의 -HTTP 헤더란 HTTP 통신에 필요한 부가정보를 의미이다. -HTTP헤더는 HTTP 메시지의 필드라인 명시되는 정보이다. -HTTP헤더는 필드 이름(헤더 이름)과 필드 값(헤더 값)이 콜론(:)을 기준으로 구분 되어있다.2.HTTP 헤더의 종류 1)Host -요청을 보낼 호스트를 나타내는 헤더이다. -도메인 네임으로 명시되며, 포트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. 2)User-Agent -웹 브라우저와 같이 HTTP 요청을 시작하는 클라이언트 측의 프로그램을 의미한다. -요청 메시지 생성에 관여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가 명시된다. -정보 종류에는 운영체제,브라우저 ..

05-02 HTTP

아래의 상기 내용은 "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"의 도서 내용과 인터넷의 내용을 실습 및 정리한 글입니다.1.HTTP(Hypertext Transfer Protocol) 1)정의 -응용계층에서 정보를 주고받는 데 사용되는 프로토콜.2.HTTP의 특성 1)요청-응답 기반 프로토콜  -클라이언트,서버> 구조 기반의 요청,응답> 프로토콜이다. 2)미디어 독립적 프로토콜 -클라이언트는 HTTP 요청 메시지를 통해 서버의 자원을 요청할 수 있고 서버는 HTTP 응답 메시지로 요청받은 자원에 대해 응답할 수 있다. HTTP는 주고받을 자원의 특성과 무관하게 다양한 종류의 자원을 받을 수 있다. -HTTP에서 메시지로 주고받는 자원의 종류를 미디어 타입(media type)이라고 하며 MIME 타입(Multipurpos..

05-01 DNS와 자원

아래의 상기 내용은 "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"의 도서 내용과 인터넷의 내용을 실습 및 정리한 글입니다. 1.도메인 네임(domain name) 1)정의  -IP주소와 대응되는 문자열 형태의 호스트 특정 정보. 2)네임서버(Name Server)   -IP주소와 도메인 네임은 한 쌍의 데이터로써 관리되고 이 데이터들의 목록을 관리하는 서버가 네임서버이다. DNS 서버라고도 한다.-도메인 네임은 점(.)을 기준으로 계층적으로 분류 된다.-최상단에 루트 도메인(root domain)이 있고, 그 다음 단계인 최상위 도메인(TLD: Top-Level Domain)이 존재하고 계속 그 다음 단계의 도메인이 존재하는 형식.-최상위 도메인 아래에는 2단계 도메인(second-level domain)이라고 부른다.-w..

09-05레드 블랙 트리(Red Black Tree) 구현

아래의 상기 내용은 "이것이 자료구조+알고리즘이다. With C언어"의 도서 내용과 인터넷의 내용을 실습 및 정리한 글입니다.1.레드 블랙 트리(Red Black Tree) 구현 1)데이터 노드 구현 2)함수 원형 선언 3)함수 구현 -노드 생성 및 메모리 삭제 연산 -트리 삭제 연산-트리 탐색 연산-트리 내 최솟값 탐색 연산-트리 삽입 연산-트리 노드 삽입 후 재구성 연산-트리 노드 삭제-트리 노드 제거 후 재구성 연산-트리 출력 연산-트리 우회전 연산-트리 좌회전 연산-예제 프로그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