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프로세스 상태
1)정의 : 말 그대로 프로세스의 현재 상태.
2)생성상태(new): 메모리에 적재되어 PCB를 할당받은 상태.
3)준비상태(ready): CPU의 자원을 할당받아 실행하기 전 대기상태.
4)실행상태(running): CPU를 할당받아 실행중인 상태.
5)대기상태(blocked): 입출력 장치의 작업을 기다리는 상태.
6)종료상태(terminated): 프로세스가 종료된 상태.


2.프로세스 계층 구조
1)정의 및 개요
-프로세스는 실행 도중 시스템 호출을 통해 다른 프로세스를 생성할 수있다.
-이 때 생성한 프로세스를 부모 프로세스 생성된 프로세스는 자식 프로세스라고 한다.
- 여러 프로세스간의 이어진 연결을 나타낸 것이 프로세스 계층 구조이다.
*자식과 부모는 다른 PID를 가지고 있고 자식은 부모의 PID인 PPID(Parrnet PID)를 가지고
있는 경우가 있다.

3.프로세스 생성방법
1)개요
-프로세스가 프로세스를 만들 때는 자신의 복제본을 만들고 그 복제본의 메모리공간을
다른 프로그램으로 교체를 하게 된다.
-이때 프로세스가 자신의 복제본을 만드는 과정을 fork. 복제본의 메모리를 바꾸는 것이 exec이다.
-fork와 exec는 시스템호출이다. fork를 통해 PID값이나 저장된 위치가 다른 복제본이 만들어지게 되고
복제본은 exec를 통해 새로운 프로그램이 된다.

'컴퓨터 공학 >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 구조 +운영체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4.CPU 스케줄링 (0) | 2023.07.25 |
---|---|
23.스레드 (0) | 2023.07.20 |
21.프로세스 (0) | 2023.07.18 |
20.운영체제의 큰 그림 (0) | 2023.07.17 |
19.운영체제를 알아야 하는 이유 (0) | 2023.07.15 |